최근 미국 주식 시장이 여러 요인으로 인해 많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. 이런 상황에서 우리 같은 많은 개인 개미 투자자들이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고 정리해봤습니다.
1. 관세 정책의 영향
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 관세가 높아지면 기업의 비용이 상승하고, 이는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이런 상황은 주식 시장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최근의 주식시장 폭락을 불러왔습니다.
2. 401(k) 제도
대표적으로 미국의 401(k) 제도는 퇴직 자금을 주식에 투자하도록 유도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. 이 덕분에 주식 시장에는 지속적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으며, 이는 시장의 안정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주식 시장이 폭락할 경우, 미국 국민들의 노후 자금에도 큰 위험이 따를 수 있어 지금과 같은 경제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. 역사적으로 과거의 미국 주식시장과 현재 주식시장을 비교해 보면 911같은 미국을 흔드는 테러나 2008년 금융위기 상황에서 주가는 큰 폭락을 했지만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자금을 기반으로 결국은 상승했습니다.
3. 저가 매수 전략
주식 시장이 하락할 때, 저가 매수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. 저가 매수를 통해 주식을 더 많이 사면,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. 물론 바닥이 어딘지 몰라서 오늘 산 주가 보다 장기적으로 더 하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S&P 500과 같은 주요 지수의 과거를 보면 장기적으로는 결국 주가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
4. 대응 방법
반등이 오거나 수익이 난 주식을 일부 정리하고 현금화하는 방법으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. 하락 신호가 여러 번 오면 일부 자산을 현금화하고, 폭락 시기에 저가 매수를 통해 적립식으로 매수를 하다 보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.
'잡담 > 이것저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재인 전 대통령 억지 기소한 정치 검찰의 개혁 로드맵 (1) | 2025.04.24 |
---|---|
대법원 전원 합의체 이재명 재판 속행 기사를 보고 (0) | 2025.04.23 |
권한대행의 알박기 인사와 헌재의 가처분 인용에 덧붙임 (1) | 2025.04.16 |
한덕수의 대통령몫 헌재재판관 기습 임명건 (0) | 2025.04.08 |
헌법재판소는 법리보다 정치적 고려를 하는 기관 (0) | 2025.03.24 |